“글은 많은데, 카테고리는 비어있다?”
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
글은 계속 쌓이는데, 정작 카테고리는 엉성하게 구성되어 있거나 불균형하다.
이는 결국
- 유입의 흐름이 끊기고
- 시리즈 구성이 중복되며
- 체류시간과 클릭률도 떨어지는 결과로 이어진다.
이 문제는
글이 아니라 '카테고리'에서 먼저 시작해야 해결된다.
글이 아니라 카테고리 단위로 콘텐츠를 본다는 것
카테고리는 단순한 분류표가 아니다.
블로그의 주제 집중도, SEO 구조, 유입 경로를 결정짓는 핵심 구조다.
잘 짜인 카테고리 | 결과 |
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3~5개 구성 | 주제 집중도 상승 |
각 카테고리별 시리즈 구성 | 내부 유입 경로 강화 |
카테고리별 대표 콘텐츠 존재 | 검색 유입 진입점 확보 |
👉 즉, 카테고리 = SEO 기반 콘텐츠 기둥이다.
1단계 – 카테고리 핵심 주제 정하기
기준은 간단하다.
✔ 내가 꾸준히 쓸 수 있는 주제
✔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검색하는 주제
✔ 수익이나 퍼포먼스 목표와 연결되는 주제
예시
- 블로그 수익화
- 정부 지원 정책
- 금융상품 리뷰
- GPT 콘텐츠 전략
- 실전 마케팅 노하우
→ 이 중 3~5개만 선택하면 된다.
2단계 – 각 카테고리별 글감 구조 짜기
각 카테고리에서 반복 가능한 글감 구조를 만든다.
형식은 달라도, 흐름은 일정하게.
예시
[카테고리: 블로그 수익화]
- 수익 구조 설명 글 (정보형)
- 키워드 전략 (비교형)
- 승인 후기 (후기형)
- 수익 인증/사례 (사례형)
- 도구 추천 (리스트형)
이런 구조는 카테고리별 ‘자동화된 시리즈 설계’가 가능하다.
3단계 – GPT로 자동 시리즈 구성 시키기
📌 프롬프트 예시
“카테고리 ‘정부 지원 정책’에서
2025년 기준 유입 가능한 키워드 10개를 알려줘.
각 키워드로 콘텐츠 제목 1개, 글 유형, 관련 시리즈 주제를 정리해줘.”
키워드 | 제목 | 유형 | 시리즈 |
청년내일저축계좌 | “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총정리” | 정보형 | 정부정책 시리즈 |
근로장려금 | “근로장려금 신청 꿀팁” | 실용형 | 환급지원 시리즈 |
전세사기 | “전세사기 피하는 방법 5가지” | 예방형 | 실생활 대처법 |
👉 이런 식으로 카테고리 기준 자동 콘텐츠 설계가 가능하다.
4단계 – Notion·시트와 연동해 운영 루틴 만들기
엑셀/Notion에 아래 필드로 구조화
카테고리 | 제목 | 키워드 | 유형 | 상태 | 발행일 |
블로그 수익화 | 애드센스 승인 후기 | 승인 후기 | 후기형 | 작성 중 | 6/3 |
정부 정책 | 근로장려금 조건 | 근로장려금 | 정보형 | 예약 | 6/6 |
GPT 활용 | GPT 키워드 분류법 | GPT 키워드 자동화 | 전략형 | 완료 | 6/1 |
→ 자동화된 시트는 발행 흐름, 균형, 반복 체크까지 모두 가능하게 한다.
'시리즈'는 감이 아니라, 구조에서 출발한다
유입이 몰리는 블로그에는 항상
반복되는 구조, 예측 가능한 흐름, 카테고리 기반의 콘텐츠 기획이 있다.
글 하나하나 잘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,
그 글이 어디에 속하고, 어떤 흐름을 타고 이어지는지가 더 중요하다.
카테고리를 먼저 정리하면,
글감은 자동으로 따라온다.
그리고 시리즈는, 전략이 된다.
📌 다음 이야기
➡ 실무시리즈 20편: 문장력 보다 중요한 '검색형 제목' 짓는 기술
↩ 이전 이야기
⬅ 실무시리즈 18편: 엑셀 + GPT로 키워드 자동 정리하는 방법, 수집부터 분류 · 콘텐츠 연결까지
'마케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편: 후킹 문장 1줄로 클릭률 높이기 – 클릭 후 이탈을 막는 시작문 5가지 (1) | 2025.04.25 |
---|---|
20편: 문장력보다 중요한 ‘검색형 제목’ 짓는 기술 – 클릭을 부르는 5가지 틀 (0) | 2025.04.24 |
18편: 엑셀 + GPT로 키워드 자동 정리하는 방법, 수집부터 분류 · 콘텐츠 연결까지 (0) | 2025.04.22 |
17편: Notion으로 콘텐츠 관리 시스템 만들기 – 블로그 운영을 위한 정리법 (0) | 2025.04.21 |
16편: Google Trends로 테마별 시리즈 뽑는 법 – 계절·이슈·관심사 글감 전략 (1) | 2025.04.20 |